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
페이지 정보

본문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
-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박 경 빈 / 이 미 순 / 전 미 란
경원대학교 / 대구대학교 / 서울대학교
본 연구는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 ‘창의·인성 교육방안,’ 그리고 ‘창의·인성 교육지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교사들은 종래의 인지중심의 영재교육에서 탈피하여 미래사회 발전에 이바지 하는 창의적인 사회적 자본(사회적 + 도덕적 리더)을 양성하는 교육으로 창의·인성 교육을 개념화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현장교사들은 창의·인성 교육방안으로 미래사회 지향적인 교육방안 즉, 사회적 민감성을 신장하는 교육과 창의성 및 리더십 교육을 언급하고, 실제 귀납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 영역-특수적인 영재성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현장교사는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을 별도로 전개하기 보다는 정규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전개해야 한다고 하면서,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함양과 교사 전문성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기하였다.
주제어: 창의․인성 교육, 영재, 사회적 자본
- 현장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박 경 빈 / 이 미 순 / 전 미 란
경원대학교 / 대구대학교 / 서울대학교
본 연구는 영재교육을 담당하는 현장교사를 중심으로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 ‘창의·인성 교육방안,’ 그리고 ‘창의·인성 교육지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교사들은 종래의 인지중심의 영재교육에서 탈피하여 미래사회 발전에 이바지 하는 창의적인 사회적 자본(사회적 + 도덕적 리더)을 양성하는 교육으로 창의·인성 교육을 개념화 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현장교사들은 창의·인성 교육방안으로 미래사회 지향적인 교육방안 즉, 사회적 민감성을 신장하는 교육과 창의성 및 리더십 교육을 언급하고, 실제 귀납적인 교육과정을 통해서 영역-특수적인 영재성을 발전시켜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현장교사는 미래사회 영재를 위한 창의·인성 교육을 별도로 전개하기 보다는 정규 학교교육과 연계하여 전개해야 한다고 하면서,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 함양과 교사 전문성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기하였다.
주제어: 창의․인성 교육, 영재, 사회적 자본
첨부파일
-
영재교육연구_20권3호_681_701.pdf (996.3K)
58회 다운로드 | DATE : 2011-01-05 17:08:04
- 이전글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정서지능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질적 접근 11.01.05
- 다음글수학영재 수업 사례분석 11.01.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